본문 바로가기

Review Diary/드라마를 보고나서

아츠히메, 바쿠후 말 위대한 여성


선덕여왕을 통해 우리 사극에도 여풍이 부는 요즘,
일본도 몇 해 전 '아츠히메'라고 불리는 한 여성의 삶을 조명한 사극이 인기리에 방영된 바 있습니다. 바쿠후 말부터 메이지 시대를 아우르는 격변의 시기를 거의 홀몸이나 다름없는 상태에서,
꿋꿋이 이겨내고 당차게 나아간 여성이 바로 텐쇼인 아츠히메입니다.
NHK 대하드라마 역사상 최연소 주연으로 화제를 모았던 미야자키 아오이가 텐쇼인 아츠히메를 맡아 열연을 펼쳤습니다. 가장 인상깊은 장면이 눈물 흘리는 장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극 중 텐쇼인이 눈물 흘리는 장면이 참 많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최종회인 50화에서도 마찬가지였죠.
어린 나이에 정사를 다루던 최고의 직책인 쇼군의 정실 부인(미다이도코로)이 되어 국모가 되었지만,
남편 도쿠가와 이에사다를 일찍 여위고 텐쇼인을 어머니처럼 따라 모셨던 그다음 쇼군인 이에모치까지 떠나보내면서 갖은 시련과 고통을 겪게 됩니다. 특히 에도성을 포기하고 내쫓기다시피 성 밖을 전전하는 삶이 이어질수록 외로움은 커지기만 했지요. 가족과 친지, 그리고 오랜 벗과 기약할 수 없는 이별을 하면서 그 고통은 배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텐쇼인은 나라를 생각하는 국모로서의 마음가짐을 여전히 잃지 않은 채 일본의 정사를 걱정하고 미래의 안위를 생각했습니다. 그녀의 고향이자 메이지 정부의 근간이 된 사츠마 지방은 일본에서도 남쪽 끝에 자리한 멀리 떨어진 곳입니다. 수도 에도와는 따질 수 없을 만큼 먼 거리이죠. 텐쇼인은 늘 고향을 마음속에 잃지 않은 채 일본을 위해 온 힘을 다했습니다. 몇 번이나 고향에 돌아갈 기회가 있었지만, 출가외인으로서 도쿠가와 가문의 존속을 위해 자기 한 몸을 바쳤습니다. 나라의 안위와 가문의 종속, 그리고 한 남자의 아내와 어머니로서 한 시대를 헤쳐나간 여성의 삶은 '아츠히메'가 최고 시청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힘이 되었습니다.

눈물샘을 자극했던 장면



50화에 이르는 긴 방영 기간에 시청률에 굴곡 없이 열도를 웃고 울렸던 힘은 미야자키 아오이를 비롯한 각 주·조연 배우들의 옴 힘을 기울인 연기에 기인하지 않았나 싶은데요. 드라마를 다 보고 난 후에는 원작 소설인 '텐쇼인 아츠히메'를 읽고 싶어지더군요. 물론 국내 출간된 번역본은 없지만 말입니다. 부족한 일본어 실력이지만 원작을 꼭 한번 읽어보아야 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드라마를 통해 우리에겐 익숙한 단어인 '명치유신', 즉 메이지 유신의 전후 사정과 역사적 배경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한 시대를 아우른 한 여성의 굴곡지지만 당당한 삶을 통해 시련을 이겨낼 수 있는 용기와 지혜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모르면 모르는 대로 지나갔을 일본 역사의 한 부분이지만, 이 기회가 계기가 되어 조금 더 일본에 대해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아츠히메' 제작진과 NHK에 감사드립니다.